영구 평화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구 평화론은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제시한, 전쟁 없는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이론이다. 칸트는 영구 평화를 위한 조건으로 예비 조항과 확정 조항을 제시했으며, 예비 조항은 전쟁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조치들을, 확정 조항은 공화주의, 자유 국가들의 연방, 세계 시민의 권리를 기반으로 한 평화 구축 조건을 포함한다. 칸트의 영구 평화론은 민주평화론, 상업의 중요성, 국제 연합 구상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지역의 평화와 안보 논의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5년 책 - 한중록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사도세자의 죽음과 궁중 생활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궁중의 권력 다툼과 사회상을 기록하고 가족의 억울함을 풀고자 쓴 책으로, 여성의 시각에서 기록된 역사적 자료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1795년 책 - 무예도보통지
1790년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는 총 4권으로 구성되어 24가지 무예 기술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는 군사 훈련 교범으로, 조선의 군사력 강화와 무예 진흥을 목적으로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전통 무예 기법을 복원하고 변화하는 전술 환경에 맞춰 무기를 재분류하는 등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고민을 담고 있다. - 칸트의 저서 - 순수이성비판
《순수이성비판》은 임마누엘 칸트의 저서로, 인간 이성의 한계와 인식 능력을 탐구하며,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종합적 선험 명제가 가능한지를 증명하고, 공간과 시간, 인과율 등을 인식의 형식으로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칸트의 저서 - 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은 임마누엘 칸트가 1788년에 출판한 저서로, 실천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고 정언 명법을 중심으로 자유 의지와 도덕성의 관계를 설명하며, 윤리학과 도덕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철학 에세이 - 수상록
미셸 드 몽테뉴가 1570년부터 집필한 《수상록》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식민 정책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하며 몽테뉴 자신의 내면 탐구와 인간 본성에 대한 성찰, 철학적 회의주의, 르네상스 시대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은 에세이 모음집이다. - 철학 에세이 - 문학이란 무엇인가?
장폴 사르트르의 문학론인 《문학이란 무엇인가?》는 산문과 운문의 차이를 통해 글쓰기의 본질을 탐구하고 작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산문은 사회적, 정치적 맥락과 연결된 기호로서 작가의 의도를 전달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영구 평화론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책 정보 | |
제목 | 영구 평화론: 철학적 구상 |
원제 | Zum ewigen Frieden. Ein philosophischer Entwurf |
저자 | 이마누엘 칸트 |
언어 | 독일어 |
국가 | 프로이센 |
발표일 | 1795년 |
주제 | 철학 |
장르 | 정치 철학 |
배경 | 쾨니히스베르크 |
2. 칸트의 영구 평화론
임마누엘 칸트는 영구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으로 "예비 조항"과 "확정 조항"을 제시했다.
칸트는 우선 전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6가지 예비 조항을 제시했는데, 이는 즉시 또는 점진적으로 시행해야 할 것들이었다. 또한, 단순히 적대 행위 중단뿐만 아니라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세 가지 확정 조항을 제시하였다.
칸트의 주장은 어떤 면에서는 현대의 민주 평화 이론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공화주의 국가('Republikanisch', 직접 민주주의가 아닌)를 대표 정부, 즉 입법부와 행정부가 분리된 정부로 정의하면서, 이러한 공화국들이 서로 평화롭게 지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 문장 끝은, "설령 무한히 앞으로 나아가는 접근 속에서만이라 할지라도, 공법의 상태를 실현하는 것이 의무이며, 동시에 그 근거인 희망이 현존한다면, 종래에 불리던 평화 체결(이것은 엄밀하게는 휴전의 의미) 후에 오는 영원한 평화는, '''공허한 이념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해결되어 목표에 끊임없이 접근해 가는 과제이다"라고 맺고 있다.
2. 1. 예비 조항
칸트는 전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즉시 또는 점진적으로 시행해야 할 6가지 조항을 제시했다.[5]# 미래의 전쟁을 위한 암묵적인 사안을 유보하는 어떠한 비밀 조약도 유효하지 않다.[5]
# 어떠한 독립 국가도 크든 작든 상속, 교환, 구매 또는 기증을 통해 다른 국가의 지배를 받아서는 안 된다.[5]
# 상비군은 결국 완전히 폐지되어야 한다.[5]
# 국가 부채는 국가 간의 대외적인 마찰을 염두에 두고 계약해서는 안 된다.[5]
# 어떤 국가도 무력으로 다른 국가의 헌법이나 정부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5]
# 어떤 국가도 전쟁 중에 암살자(percussores), 독살자(venefici)의 고용, 항복 위반, 반역(perduellio) 선동과 같이 이후의 평화에 대한 상호 신뢰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적대 행위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5]
칸트는 예비 조항에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했다.
- 미래 전쟁을 유보한 강화 조약 금지[5]
- 매수, 증여 등에 의한 국가 획득 금지[5]
- 상비군 유지 증강 금지[5]
- 정책 전쟁을 위한 국채 발행 금지[5]
- 다른 국가에 대한 군사적인 내정 간섭 금지[5]
- 타국과의 전쟁에서 상호 신뢰를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 금지[5]
특히, 상비군 전폐를 다룬 제3조항에서 칸트는 상비군의 존재 자체가 다른 국가에 전쟁 공포를 유발하고, 무제한적인 군비 확장 경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또한 상비군 유지는 국내 경제를 압박하여 공격의 동기가 될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국민이 자발적으로 군사 훈련을 통해 자위 수단을 확보하는 것은 인정했다.[5]
2. 2. 확정 조항
칸트는 적대 행위 중단뿐만 아니라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세 가지 확정 조항을 제시했다.[5]칸트는 공화주의 국가인 'Republikanisch' (직접 민주주의가 아닌)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그는 이것을 대표 정부, 즉 입법부가 분리된 행정부를 갖는 정부로 정의한다.[7][8] 칸트는 공화국이 다른 형태의 정부보다 평화를 선호하기 때문에 서로 평화롭게 지낼 것이라고 주장한다.
확정 조항에서 칸트는 공화정의 국가 체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여기서의 공화 체제란 사실상의 체제가 아니라, 자유와 평등의 권리가 인정된 국민이 대표제에 따라 통치에 참여하고 있는 이념으로서의 정치 체제이다. 즉 공화 체제에서 국민은 전쟁의 고난을 기피하기 위해, 개전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칸트는 생각했던 것이다. 같은 이유로 조화로운 국제 연합의 틀을 수립함으로써 세계 공화국을 형성하면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칸트는 세계 정부에 반대하며, 그것이 폭정에 빠지기 쉽다고 주장했다.[4] 국제 체제의 무정부 상태에 대한 더 바람직한 해결책은 독립적인 공화국 국가의 연맹을 만드는 것이었다.[4]
칸트는 보편적 환대가 외국인에게 제공하는 권리를 명시한다. 악의 없이 방문하는 경우 적대 행위 없이 대우받을 것이라는 추정하에 외국을 방문할 권리와 그 제한을 두었는데, "그가 죽음을 초래하지 않는다면 그 국가가 [방문객]을 다시 내보낼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그 외국인이 주장할 수 있는 손님으로 대우받을 권리가 아니다."라고 하였다.[9][10] 이 권리는 국가 간의 최종 목표인 상호 의사소통과 평화로운 관계를 달성하는 데 필요하다.
2. 3. 추가 조항
칸트는 '부록'에서 두 가지 부록을 추가했다.[6]- 첫 번째 부록: "영구 평화의 보증에 관하여"
- 두 번째 부록: "영구 평화를 위한 비밀 조항"
- 부록 I.—"영구 평화에 관한 도덕과 정치의 불일치에 관하여"
- 부록 II.—"공공 권리의 초월적 관념에 따른 정치와 도덕의 조화에 관하여"
3. 영구 평화론의 현대적 의의와 영향
칸트의 영구 평화론은 여러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대중적이고 책임 있는 정부가 평화와 상업을 촉진한다는 생각은 유럽 사상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조지 캐닝과 파머스턴 경의 외교 정책, 우드로 윌슨의 자유주의 국제주의, 1940년대 유엔(UN)에서 칸트의 사상이 표현되었다.[16]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웰스는 프로이센 군국주의와 독재를 민주 정부로 대체하면 유럽 국가들이 전쟁을 멈출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주의가 전쟁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한다는 생각은 민주평화론으로 발전했다. 노먼 에인절은 현대 상업이 전쟁을 무익하게 만든다고 주장했고, 슘페터는 자본주의가 국가를 평화롭게 만들고 제국주의에 반대하게 만든다고 주장했다.[16]
제임스 밀은 식민주의를 상류층을 위한 노동복지라고 묘사했고, 요제프 슘페터는 자본주의가 현대 국가를 본질적으로 평화롭게 만들고 정복과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이는 경제적으로 낡은 귀족 엘리트에게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이 이론은 최근 몇 년 동안 잘 발전되어 왔다. ''분쟁 해결 저널''에 기고한 맨스필드와 폴린스는 대부분 이 테제를 뒷받침하는 방대한 경험적 연구를 요약한다.[12] 경제적 상호 의존성이 분쟁 감소로 이어지는 상황을 제한하는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예외와 자격이 있다. 세 번째 요인은 평화로운 군주들의 연합이 영구적인 평화를 만들 수 있다는 오래된 생각이다. 칸트는 그의 동맹을 보편적 국가와 구별했다. 클래런스 스트라이트는 ''지금 연합''(1938)에서 미국 헌법을 모델로 한 민주주의 국가들의 연합을 제안했다. 그는 무역과 민주주의의 평화로운 방식이 이 연합을 영구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추축국의 전쟁 억제를 위해 연합의 결합된 힘에 의존했다.
제러미 벤담은 군축, 중재, 식민지 포기를 통해 영구적인 평화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제안하여 칸트의 예비 조항에만 의존하고 세 가지 주요 요점 중 어느 것에도 의존하지 않았다. 현대 이론가와 달리 그는 스웨덴의 절대 군주제에 반대하는 여론에 의존했다.
4. 영구 평화론과 한국
덧붙여, 본서의 말미, 제2장의 제3확정 조항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칸트는 해양 진출한 유럽 국가들의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에서의 침략·찬탈적 자세를 비판하면서 중국 (청)과 일본의 쇄국 정책을 현명한 조치로 언급하고 있다[14]。
참조
[1]
서적
Zum ewigen Frieden : ein philosophischer Entwurf
bey Friedrich Nicolovius
[2]
논문
The Classical Liberals Were Right: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1950-1985
https://doi.org/10.1[...]
1997
[3]
논문
The Third Leg of the Kantian Tripod for Peac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ilitarized Disputes, 1950-85
https://www.jstor.or[...]
1998
[4]
서적
Bounding Power: Republican Security Theory from the Polis to the Global Villag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
서적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Essay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6]
서적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Essay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7]
서적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Essay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8]
문서
Kant, Ak. 8:352
[9]
서적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Essay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10]
문서
Kant, Ak. 8:358
[11]
논문
The Ideology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and the Philosophy of Peace of Immanuel Kant 1795-1945
https://www.jstor.or[...]
1947
[12]
서적
The Study of Interdependence and Conflict
http://www.people.fa[...]
[13]
문서
岩波 p.9
[14]
문서
岩波 p.49
[15]
문서
訳者池内紀による評伝『カント先生の散歩』(潮出版社、のち潮文庫)がある。
[16]
간행물
The Ideology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and the Philosophy of Peace of Immanuel Kant 1795-1945
https://www.jstor.or[...]
19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